Picture Cell
![]() Pic-Cell_Coincide2019 wood, frame, canvas, mixed media 32(l) x 31(h) x 32(d) cm | ![]() Pic-Cell_Rise2019 ceramic, feather, mixed media 29(l) x 24(h) x 24(d) cm | ![]() Pic-Cell_Modernist20(l) x 20(h) x 20(d) cm clothes, mixed media 2019 |
---|---|---|
![]() Pic-Cell_Attention21(l) x 21(h) x 21(d) cm paper, ceramic, mixed media 2019 | ![]() Pic-Cell_Become26(l) x 25(h) x 25(d) cm photo, mixed media 2019 | ![]() Pic-Cell_Perspective13(l) x 13(h) x 13(d) cm paper box, mixed media 2019 |
![]() Pic-Cell_Melancholia13(l) x 13(h) x 13(d) cm canvas, mixed media 2019 |
세계를 보는 것 혹은 인식하는 것, 즉 이미지는 인간 사고의 가장 출발점이 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이미지의 도식은 인간 사고의 가장 출발점에서 영화 <인셉션>의 팽이처럼 인간 무의식 속의 대전제가 되어 인간 사고의 전 영역에 영향을 끼친다.
인쇄술에서는 망점이, 디지털 이미지에서는 픽셀이 이미지의 최소단위를 상징한다. 나는 이 중 오늘날 많이 사용되는 픽셀이라는 단어와 의미에 집중한다. 만약 평면의 고정된 픽셀이 이미지의 도식을 대체한다면 인간 사고의 결과물 또한 디지털적이 될 뿐이라고 생각한다.
네이버 웹툰 <꿈의 기업>에서 인공지능의 모습은 완벽한 구의 형태이다. 완벽한 구의 형태에는 완전성만이 있을 뿐, 예측 불가능한 변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완벽한 구가 기계의 극한인 인공지능을 상징한다면, 나는 그 반대지점에 있는 형상, 가장 인간다운 이미지의 도식을 표현하고자 했다.
예측 불가능한 변수라는 것은 곧 정해지지 않은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다. 내 작품은 무한한 가능성들의 집약체인 “세포(수정란)”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다.
...만들어놓고 나니 수정란 같기도 하고, 어떤 세포같기도 하고, 세상에서 가장 작은 물질 단위인 소립자 같기도 하고, 우주 속 거대한 행성같기도 하다......
Picture Cell - Transition from a fixed world into a vibrant world
The work is triggered by my reflection on the society today in which capitalism uses advance science and reasons as tools and rapidly leads to unified standards.
People today do not easily get touched by news as there are so many news stories that people seem to have no consideration for each other and they become familiar with a life that can easily be substituted for by the profit-making machine called capitalism. Even if people are not acknowledged, people’s idea have been fixed steadily to a uniform standard as a part of the social systems.
The social systems are worlds of fixed parts. Parts do not regulate by themselves ;however, fixed things are artificial - outside of the systems - in a real world. For example, a particle of something like steel that is considered to be firmly fixed is always vibrating. About our minds, people can freely feel how they change by themselves.
I focus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representative image of this vibrant world to lead people even though they want to escape from the mechanical concepts of being parts. A pixel as the smallest unit of an image represents a fixed world. I attempt to visualize an image that can cause a shift in awareness of the fixed world into a vibrant world.
Like the way a top spins and stops clearly reveals the essence of the world in the movie Inception; an image does not have to be complicated to be a representation. Its existence and form themselves reveal the essence of the world - the form that cannot be accepted within the fixed world.
If a fixed being is something defined by a number, a machine, a unified standard, a precise perfection, and efficiency, and if its extreme is called AI, a vibrant being is about nature, humanity, and its extreme is infinitely variable, unpredictable by AI - in other words, a lump of possibilities. The unexpected variable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s. (People offer something that a machine cannot calculate: they give their life to save others even if it does not seem efficient.)
If the only absolute perfection without any variation is compared to a sphere, in replying to it I create an image based on the form of a cell (especially a fertilized egg) that connotes an infinite possibility with the circular form as the aggregate of the variations.
The basic form of an image is a freely moving mobile including unexpected variations, which can be hard for a machine to copy(inefficient), from the processes of tearing, burning, wrinkling, breaking, etc., so that it has diversity and uniqueness. The condition would be too difficult to be a part of a machine.
I call it Pic-Cell, in correspondence with Pixel. Picture Cell is the smallest unit of an image, compared to a cell that connotes an infinite possibility. Seeing is actually about understanding through the brain rather than the eyes. A pixel is a fragmentary unit of an image that goes through optic nerves and there are infinite numbers of cases to access with the nerves in the brain. Thus, the name with a cell seems more appropriate.
In today’s capitalism filled with materialism and the coming era of AI, the world should be understood from its most fundamental part in order to keep the human identity and to be different from a machine.
People should have a way of seeing the world from the point at which people understand the world, the moment in which people see the world, in order to be infinitely possible. A fixed unity should not come to be image of human beings. I hope that my work touches others to spin a top in their heart.
July 2019, Yeowoon Kim
Picture Cell - 고정된 세계에서 생동하는 세계로의 이행
도시의 쪽방에서 고독사 하는 노인들이나 가족과 함께 동반자살을 시도하는 가장의 뉴스를 매년 접할 수 있다. 이를 보고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 인간미가 사라져 가는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하게 된 작업이다. 현대인들은 매일 쏟아져 나오는 인간성 상실 뉴스에 의해 자극이 무뎌진지 오래이며, 현대 사회라는 거대한 이윤창출 기계의 대체가능한 부품이 되는 삶과 부품의 특성인 획일화된 표준이라는 고정된 사고방식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시스템 안은 일종의 부품들의, 고정된 것들의 세계이다. 부품들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시스템의 밖, 우리의 진짜 세상에서는 고정된 것은 인위적인 상태이다. 물질을 예로 들면 강철과 같이 우리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생각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물질의 입자는 언제나 진동하고 있다. 나는 우리가 고정된 기계적 사고에서 벗어나려고 해도 우리를 인도하여 줄 생동하는 세계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없다는 데에 주목하였다. 우리가 아는 픽셀은 고정된 세계를 대표한다. 나는 생동하는 세계로의 인식의 전환을 일으킬 수 있는 형상을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영화 “인셉션”의 팽이가 도느냐 멈추느냐로 그 세계의 본질을 극명하게 드러내듯이, 그 형태는 간단, 복잡 여부와는 상관없이 그 존재와 형상 자체만으로 움직이는 세계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어야 하며, 고정된 세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형상이어야 한다. 고정됨을 수, 기계, 획일화된 규격, 오류 없는 정확함, 효율이며 그것의 극단을 인공지능이라 한다면, 생동함은 자연이고 인간다움이며 그 극단은 인공지능이 예측할 수 없는 무한한 변수, 즉 가능성의 덩어리라 할 수 있다. 특히 예측 불가능한 변수(glitch)는 인간의 대표적 특성이다(비효율적인 인물을 살리기 위해 목숨을 바친다든지 기계가 계산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
어떠한 예측 불가능한 변수도 없는 완전무결한 형태를 매끈한 구에 비유한다면, 나는 그것에 대응하여 변수들의 집약체로 둥그스름한 형태이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한 세포의 형상(특히 수정란)에 착안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형태는 입체이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모빌이며 기계가 복제하기 어려운(예를 들면 찢기, 태우기, 구기기, 깨뜨리기 등) 예측 불가능한 변수를 포함하여 다양성과 유일성을 가지도록 의도하였다.
나는 이것을 Pixel에 대응하여 Pic Cell이라 명명하였다. Picture Cell, 즉 이미지의 최소단위를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세포에 비유하였다. 보는 것은 눈이 아니라 뇌로 인식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신경을 톻해 뇌로 들어가 셀 수 없는 경우의 수로 신경세포를 자극하게 될 이미지의 정보를 단편적인 pixel 보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cell로 표현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계속해서 고정된 세계로 나아가는 현실 속에서 인간다운 정체성을 유지하려면 인간 사고의 가장 근원적인 부분에서부터 기계와 구분되는 사고가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시작되는,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그 순간에서부터 무한한 가능성의 사고를 하기를바란다. 나의 작품이 보는 이들의 깊은 마음 속 팽이를 돌리기를 바란다
2023년 1월, 김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