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거기 있다
There They Are

설치 작품
Installation Works

There They Are

 Previously I have felt pressure about the smaller size of my work - almost every time it was shown. It goes back to an early solo exhibition of my work; the gallery representative called the work (it was 26cm x 26cm) an ‘object' and did not count it as one of the works in the show. Since then, the matter of size has become stamped in my consciousness. When I saw the common view of a show by other artists filling a big space in an exhibition hall, I was envious and felt pressured at the same time. Their work then seemed to be “work perfect for an exhibition. “

 To be honest, I feel that I have attempted to resize my work by force - even if some of it could be smaller. I enlarged them with a will to fill an exhibition space. When I confronted those big walls my first thought was, “How should I fill this?”

 The work for this exhibition attempts to break the typical look of an exhibition in the aspect of size and organization. It is not a typical exhibition where artwork fills the walls but a poor exhibition where artwork is found when carefully looked for. As the background of the artwork is not painted, the artwork can be seen as delicate work that may not really fulfill the expectations of an audience within today’s somewhat trivial look. It is an exhibition going backwards from today’s society where attractive technologies and fantastic dazzles are developed to catch people's eyes.

 The main subject also is not what people often like to see (such as flowers in a still life painting) but rather an unnamed wild grass between pavement edges with its strong vitality. This is what I meet on the street when walking or something else very small but surviving within its own space around me. The final works are relatively similar to the actual size of the subjects. Among them, many wild grasses were smaller than my thumbnail, so if I did not look closely, it was not possible to catch its appearance.

 However, they are still there. They are there after their own hardship. But this hardship may not be the hardship that everyone considers. Their hardship can be very minor in the public’s criterion like the size of a small wild grass is. These depictions of wild grass, with its small size that becomes unclear even some few steps away, attempts to break the typical appearance of what is expected of artwork, and delivers a message with their existence that cannot be denied even with this delicate size.

 

 That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exhibition space seems to be empty is also my intention. I want to encourage you that it's okay to be different from what society expects of you. Modern people often seek recognition and meaning, and when they feel like they are not achieving this, they can become unhappy. In the painting, the small beings represent both you and me. Even if the first flower wilts, as long as it has roots, it can bloom again at any time. I want to emphasize that a life spent making an effort towards something is more valuable than a pretty flower that blooms brightly. The crucial thing is to find your own worth. My work can cheer up and cure those who live with anxiety through a minor existence that must ride out the storm. Perhaps the things that are in the category of meaninglessness under the contemporary system exist there as they are.

Variation of Variables - Image Study 1

 

My Attitude Towards Your Variable

 There is a big lump before my eyes. The strange object that has a soft touch due to the multiple strands of paper does not seem to be a very firm nor a frightening being, but the rod that is more than three meters long is tilted, not being able to bear the weight. The lump makes the rod spin and wobble with its weight. This big lump is ‘X,’ a variable, an assembly of many numbers, as many as the paper strands attached.The audience nudges ‘X’ on account of the size of ‘X,’ the radius it creates with its revolution, and the size that ‘X’ takes up in the limited space. 


It is someone’s life that ‘X’ nudges. ‘X’ is enormous and our lives always spin and wobble resulting from an unforeseen variable. The variable does not only mean unfortunate events or accidents, but it also means everything else that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s, including the outcomes that happened because of those incidents. The meaning of being different from the standards - an ideal type of appearance, taste, personality, attitude, health, how to live a certain life - is that it requires someone’s help. (Being ill or having a disability is different from healthy people as well.) 

 

 A plate that is smaller compared to ‘X’ is on the opposite side. On it, there is a pouch that barely withstands the weight so that the rod would not completely touch the ground. ‘You’ can lay your stone on ‘our’ plate and lift ‘X’ together. You can either lay a stone on the plate by choosing one from the stones that the artist wrote “Inclusiveness, Kindness, Love, Tolerance, Action, Solicitude, Effort, Care, Interest, Support, Give, Humanity, Understand, Altruism, Accept, Solidarity” from the bowl noted ‘YOU,’ or by writing your own word on a blank stone. 

 

 Now that the plate is filled, since ‘your’ stones become ‘us,’ life overcomes the variable more easily. It is too heavy to endure the weight of ‘X’ alone. The solidarity of ‘us’ helps overcome the variable that approaches each individual. ‘We’ have to get heavier as the variable grows bigger. 

Three Poles

 The artwork of the three columns depicts three columns leaning against each other, forming a structure that requires all three to remain standing; if one were to be missing, it would collapse. This structure is only possible with three, not two. These columns symbolize three essential aspects of life. One represents life itself, signifying life as a process rather than a results-oriented approach. Even if a flower cannot bloom, as long as there are roots, one can anticipate the next season – it represents an individual's life as the entire process of living through subsequent seasons. Additionally, life is personal, yet interconnected, where individuals mutually influence and impact each other's existence.

And thus, the second column represents us. It signifies solidarity and mutual growth between you and me, not just individuality. The third column represents diversity or potentiality, and what I want to express is the variable that serves as the underlying premise for all of these. Variables are often not embraced readily. They are also known as glitches or bugs, and to the results-oriented perspective of life, modern society's achievement-centered focus, or machines like AI that require predetermined outputs, variables might not be welcome. However, a process without variables is merely replication. While machine replication and human evolution differ, the latter necessitates variables. Therefore, in a truly human life, variables must be inherently present, and sometimes, variables that manifest as failures or setbacks are not meaningless. Us, life, variables. These three pillars leaning against each other reveal the form of humanity I strive for, a form that systems dare not define.
 

 The restoration of humanity's inherent dignity, which is small and fragile yet holds infinite value within, is the core value that my work pursues. Through my artwork, I hope that modern individuals can break free from even a single chain among the many that bind them, and become liberated.

-2023, Yeowoon Kim                                          

거기 있다

  나에게는 작품의 크기에 대한 부담감이 거의 언제나 있어왔다. 그것은 내 초창기 개인전 경험과 관련이 있는데, 당시 3개 층의 전시장에 이르는 규모 있는 갤러리의 대표는 나의 2호짜리 작품을 보고는, 소품이라 칭하며 개인전 작품의 갯수에 넣지 않았다. 이후로 나도 모르게 무의식에 각인되었던 것 같다. 큰 전시장을 가득 채우는 다른 작가들의 ‘흔한 전시 풍경’들을 보며 부러움과 압박을 동시에 느꼈다. 그것들이야말로 전시라는 틀에 맞는, “작품”같이 느껴졌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내 작품들은 그간 무리하게 사이즈를 키운 느낌이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것들은 사실 더 작게 그릴 수도 있었다는 말이다. 전시장을 채우고 싶어서 굳이 조금 더 확대해서 그렸다고 생각한다. 전시를 위해 주어진 큰 벽을 보면서 먼저 이걸 어떻게 “채우지?” 하는 고민을 했다. 


 이번 작품들은 크기와 구성에서 전형적인 전시의 모습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했다. 작품들이 전시장 벽을 꽉 채운 흔한 회화 전시장의 모습이 아니라 자세히 봐야만 작품이 보이는 빈곤한 전시이다. 캔버스의 8할 이상을 손 대지 않은 화면에 정밀하지만 아주 작은 것을 그렸다. 어찌보면 사람들이 기대하는 바에 못미치는, 하찮아 보이는 미세한 그림이다. 눈요기 기술과 환상의 현란함이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 현대 사회에 역행하는 듯 보이는 전시이다. 


 그림의 주 소재 또한 정물화의 대상이 되거나 꽃다발의 재료로 쓰이는 등으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화려한 꽃이 아니고, 내가 길을 가면서 마주친 강인한 생명력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남은, 보도블럭 사이에서 자라난 이름 모를 작은 들풀들이거나, 주변에서 보이는 것들로, 아주 작지만 꿋꿋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들이다. 작품은 실제 사이즈에 가깝다. 그 중 많은 풀들은 내 검지 손톱보다도 크기가 작았으며 가까이서 관찰하지 않는 이상 존재 자체가 잘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것들은 거기 있다. 그들만의 역경을 딛고. 그런데 그 역경은 누구나 인정하는 거창한 역경이 아니다. 그것들의 역경도 대중의 잣대에 대어 보면 풀의 조그만 크기 만큼이나 별 볼일 없는 것이다. 몇 발자국만 떨어져도 잘 볼 수 없을 정도로 캔버스의 작은 일부분에만 조그마하게 그려진 모습을 통해 사람들이 기대하는 전형적인 작품의 모습에서 탈피하고자 하며, 그럼에도 부인할 수 없는 캔버스 위의 그들의 존재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언뜻 전시장이 텅 비어보이는 듯 하는 것은 의도된 바이다. 사회가 정한 기대치와 달라도 괜찮다고 말해주고 싶다. 현대인들은 관심받고 의미있는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그렇게 되지 않으면 불행하다고 느낀다. 그림 속 작은 존재들은 나이자 여러분이다. 뿌리가 있다면 설령 첫 번째 꽃이 지더라도 언제고 다시 피울 수 있다. 나는 활짝 피운 예쁜 꽃보다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삶이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싶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가치를 찾는 일이다. 그날 그날을 이겨내는 거창하지 않은 작은 존재들을 통해 불안 속에 매일을 사는 현대인들이 응원받고 치유받기를 소망한다. 어쩌면 시스템에서 무의미의 범주에 들어가는 그것들은 그렇게 거기 있다. 

변수들의 변주-이미지 연구 1

 작품은 새로운 이미지의 도식으로 고안안 형태인 각각의 변수들이 쭉 이어 걸린 모빌의 형태를 하고 있다. 낚싯줄로 최소한의 고정만 되어있어 약간의 힘만 주어도 상하좌우로 출렁인다. 특히 변수들이 매달린 각 나무 봉의 무게중심에 줄을 연결하였으므로 모빌에 아래에서 위로 힘을 줄 경우, 마치 중력에서 벗어난 것처럼 위로 솟아오르듯 크게 움직이는 재미가 있다. 


 이 작품은 살아있는 인간이 인식하는 살아있는 이미지의 모습을 컴퓨터나 전자신호 스크린의 힘을 빌리지 않고 구현한 것으로, 인간은 도구가 아니라는 점을 표현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살아있는 것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각각의 살아있는 점이 움직이며 예측 불가능한 선과 면과 입체를 만들어낸다. 관람객들은 자유롭게 막대나 변수들을 건드리고 움직여보며 그 자유로운 움직임을 감상할 수 있다. 

 

너의 변수를 대하는 나의 자

 눈 앞에 커다란 덩어리가 보인다. 많은 종이띠들로 부드러운 촉감을 주는 낯선 그것은 아주 단단해 보이지도, 무서운 존재처럼 보이지도 않지만 꽤나 무거워서, 그것이 한쪽에 매달린 3미터가 넘는 막대는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있다. 덩어리는 자신의 무게로 막대를 이리 저리 회전시키고 출렁이게 만든다. 이 커다란 덩어리는 붙어있는 많은 종이띠 만큼이나 많은 수의 변수들의 집합체인 X이다. 공간에서 차지하는 X의 크기와 회전 반경의 크기로 인하여 관람객들은 X를 건드리게 된다.


 X가 흔드는 막대는 누군가의 삶이다. X는 거대하고 우리의 삶은 언제나 예기치 못한 변수로 인하여 휘청이고 흔들린다. 변수는 불행한 사건이나 사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러한 사건으로 인하여 발생한 결과를 포함하여, 표준과 다른 모든 것을 의미한다. 이상적인 형태의 외형, 취향, 성격, 태도, 건강상태, 어떤 삶을 어떻게 사는지. 표준과 다르다는 것은 누군가의 이해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아프거나 장애가 있는 것도 건강한 사람과 다른 것이다.)
 

 반대쪽에는 X에 비하면 작은 접시가 있는데, 그 위에는 간신히 막대가 완전히 바닥에 닿도록 떨어져내리지 못할 정도의 무게를 버티는 주머니가 얹어져 있고 ‘우리’라고 적혀있다. ‘당신’은 ‘우리’의 접시에 당신의 돌을 얹어서 X를 같이 들어줄 수 있다. ‘YOU’라고 적힌 그릇에서 작가가 단어들(Inclusiveness 포용, Kindness 친절, Love 사랑, Tolerance 관용, Action 행동, Solicitude 배려, Effort 노력, Care 배려, Interest 관심, Support 지지, Give 기부, Humanity 인간애, Understand 이해, Altruism 이타심, Accept 수용, Solidarity 연대, Empathy 공감)을 적어놓은 돌을 꺼내어 올리거나, 아무것도 적히지 않은 돌을 꺼내어 당신의 단어를 적은 후 접시에 올릴 수도 있다. 
 

 그렇게 쌓인 이제는 ‘우리’가 된 ‘당신들’의 돌들로 인하여 삶은 변수를 더 가볍게 이겨낸다. 홀로 X의 무게를 견디어내기에는 너무나 무겁다. ‘WE’의 연대가 개개인에게 닥치는 변수를 극복할 수 있게 도와준다. 변수가 커질수록 ‘우리’는 무거워져야 한다. 

세 개의 기둥

 세 개의 기둥 작품은 세 개의 기둥이 서로 기대어 서있으며 이 중 하나라도 빠진다면 무너지기에, 둘이 아닌 셋이어야만 가능한 구조물입니다. 기둥은 삶에서 꼭 필요한 세 가지를 상징합니다. 하나는 삶입니다. 이것은 결과 중심주의의 삶이 아닌 과정으로서의 삶을 의미합니다. 꽃을 피우지 못하더라도 뿌리가 있다면 그 다음을 기약할 수 있다는, 그 다음 계절을 살아가는 전체 과정으로서의 삶으로서 한 사람의 인생을 의미합니다. 또한 생명은 개인의 것이지만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삶으로서의 생은 나만의 것이 아닙니다. 그리하여 두 번째는 우리입니다. 혼자가 아닌 너와 나 그리고 모두의 연대와 상생을 의미합니다. 세 번째는 다양성 또는 가능성인데 저는 그것들의 전제가 되는 변수를 말하고 싶습니다. 변수는 대부분 반가운 것이 아닙니다. 글리치 또는 버그라고도 불리며, 정해진 답을 원하는 결과 중심주의 인생이나 현대인들의 성과 중심주의, 또는 정해진 결과를 출력해야하는 AI같은 기계의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것입니다. 하지만 변수가 없는 과정의 반복은 복제일 뿐입니다. 기계의 복제와 다른 인간의 진화에는 변수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인간다운 삶에서 변수는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며, 때로는 실패나 좌절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 변수는 무의미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 삶, 변수. 이 세 가지가 서로 기대어 서 있는 세 개의 기둥은 감히 시스템이 규정할 수 없는, 제가 추구하는 인간의 형상을 보여줍니다. 


 작고 연약하지만 그 안에는 무한한 가치를 품고 있는 인간다움의 회복은 제 작업이 추구하는 핵심 가치입니다. 저의 작업을 통해 현대인들이 자신을 스스로 옭아매고 있는 많은 사슬 중에서 하나라도 끊어내고 자유로워지기를 바랍니다.

-2023년 1월, 김여운                                                        

bottom of page